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국전쟁 [이승만 다큐영화, 나얼 진중권 비판, 관람후기] 바로 알아보기

by 자도 2024. 2. 15.
반응형

이승만 전 대통령의 다큐영화 '건국전쟁' 개봉으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 영화를 광고까지 하면서 관객 몰이를 하고 있는데요. 누적 관객 수도 14일 기준 38만을 돌파하며, 꽤 선방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오늘은 이승만 다큐영화 건국전쟁에 관한 나얼과 진중권의 비판, 그리고 후기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다큐영화인 만큼, 상영관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

✅ '건국전쟁' 상영관 바로가기 👆🏻

 

 

다큐영화 '건국전쟁'

작년 개봉했던 '서울의 봄'의 경우 배우들이 출연하여 만든 영화였지만, 이번 건국전쟁은 이승만 대통령 임기 전부터 이후까지의 일대기를 촬영한 것을 편집하여 만든 영화입니다.

 

이승만이 '기회주의자' 또는 ' 미국이 앞세운 배우' 였다는 평가와는 다르게, 이 다큐영화에서는 이승만의 업적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의 시작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 보관되어 있던 이승만 대통령이 뉴욕 맨해튼 '영웅의 거리'에서 카 퍼레이드를 하며 행진하는 모습으로 시작됩니다.

 

 

이승만에 대한 평가는?

이승만에 대한 평가는 매우 복잡한 편입니다. 역사적 맥락과 관점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나눠 설명드리겠습니다.

 

긍정적 평가

  • 국가 수립의 주역 '이승만' : 이승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남한에서 가장 먼저 정부를 수립하여 국가의 기초를 다진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그의 리더십 하에 대한민국은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고 자유민주주의 국가로서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 국제무대에서의 활약: 이승만은 한국을 국제사회에 소개하고, 특히 미국과의 강력한 동맹을 구축함으로써 국가의 안보와 경제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큽니다.

 

부정적 평가

 

  • 독재적 통치: 이승만 정부는 집권 기간 동안 선거 조작, 언론 통제, 정치적 반대자에 대한 탄압 등 독재적인 방법으로 권력을 유지했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특히, 3.15 부정선거는 그의 독재적 통치 방식과 권력욕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습니다.
  • 4.19 혁명으로 인한 하야: 1960년 3.15 부정선거에 대한 대규모 항의 시위가 발생했고, 이는 4.19 혁명으로 이어져 결국 이승만의 하야로 귀결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그의 통치스타일이 얼마나 많은 국민의 반발을 샀는지를 보여줍니다.

 

나얼 진중권 비판

 

가수 나얼은 지난 12일 건국전쟁 영화 포스터를 포스팅하며 성경 구절을 적어 업로드하였습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과 나얼은 독실한 기독교인이라는 공통점을 가지는데, 큰 비판이 일자 나얼은 댓글창을 폐쇄했습니다.

 

이와 반대로 진중권은 영화 '건국전쟁'을 두고, "쓸데없이 이런 거 안 만들었으면..."이라고 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건국전쟁 관람 후기

개인의 정치색에 따라 관람 후기가 크게 나뉘고 있습니다. 보수층 지지자 들은 자유와 번영이라는 단어를 쓰며, 이승만에 노고에 감사하다고 전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