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방법 계산기] 한번에 정리하기!

by 자도 2023. 12. 6.
반응형

2024년 새롭게 계정 된 주휴수당 얼마인지 찾고 계신가요? 2024년 최저시급이 9,860원으로 결정되며 작년대비 2.5% 인상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주휴수당도 인상되었는데요. 주휴수당 계산이 생각보다 복잡해서 잘 모르면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도 못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잘 참고하셔서 2024년 주휴수당 지급기준과 계산방법, 그리고 쉽게 계산해 주는 주휴수당 계산기까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기 썸네일
<주휴수당 계산방법>

 

 

또한, 주휴수당에 대해 잘 모르면 제대로 지급받지 못하는 것처럼 나라에서 지원하는 많은 지원금과 환급금들이 있는데요. 아래를 참고해서 내가 놓치고 있는 지원금이나 환급금이 없는지 꼭 검토해 보세요!👇🏻👇🏻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사업주와의 근로계약서에 규정된 1주 동안의 근로일수를 모두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주휴일과 1일분의 임금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근로기준법에는 최대 근로시간(기본 주 40시간 연장근로 최대 52시간)을 정해두고 조건이 충족되는 근로자에게 1주에 1회의 '유급휴일'을 지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쉽게말해 A라는 공장에서 일주일에 48시간 근로를 근로계약서에 명시한 경우, 이번주에 48시간을 모두 채운경우 1일의 유급휴가를 제공해야 하는 것입니다.

 

고용노동부 주휴수당예시 보러 가기 👆🏻

 

주휴수당 지급기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주당 소정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로 제한됩니다.

 

주 5일 근무로 계약하되, 토요일은 무급 휴무이고 일요일은 유급 주휴일인 경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전체 근무일에 출근한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기준 정리표>

중간에 일찍 퇴근하거나 결근, 조퇴한 경우에도 개근 요건이 충족되므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자의 사정이 아니라 회사 사정으로 인해 휴업한 경우에도 주휴수당이 인정됩니다.

 

이 규정은 월급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기준입니다.

유급 휴일이란?

주휴수당은 근무를 하지 않고 쉬어도 지급되는 하루치 급여로, 이를 주휴일이라고 합니다. 주휴일에는 하루치 급여가 지급되기 때문에 이를 '주휴수당'이라 부릅니다.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휴수당 계산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 복잡 주휴수당: (1주일 근무시간/40시간) x 8시간 x 시금
  • 단순주휴수당: 1주일 근무시간 x 시급 x 20%

단순하게 1주일 동안 받는 주급의 약 20%가 주휴수당이라고 생각하면 계산하기 쉽습니다.

 

주휴수당 계산예시

  •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 일주일 근무시간 48시간

👉 근무시간 48시간 x 시급 9,860원(본인의 시급을 적용. 여기서는 최저시급 적용함) x 20% = 94,656원

 

주휴수당 계산기

위에 자세히 설명드렸지만, 요즘 주휴수당 계산기가 정말 많습니다. 아래의 계산기에 단순히 시급과 근무시간입력만으로 주휴수당을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여 계산기로 이동>

 

✅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

반응형